카테고리 아카이브 역류형 열교환기

왜 역류가 평행류보다 효율적인가요?

열교환기에서 역류(counterflow)는 평행류보다 효율적입니다. 역류는 교환기 전체에서 두 유체 사이의 온도 차이(ΔT)를 더 크고 일정하게 유지하여 열전달을 극대화하기 때문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온도 구배 및 열 전달

  • 역류:
    • 역류에서는 유체가 반대 방향으로 흐릅니다(예: 뜨거운 유체가 한쪽 끝으로 들어오고 차가운 유체가 반대쪽 끝으로 들어옴). 이로 인해 열교환기 전체 길이에 걸쳐 거의 일정한 온도 차이(ΔT)가 발생합니다.
    • 뜨거운 유체의 최고 온도(입구)는 차가운 유체의 출구와 만나고, 차가운 유체의 최저 온도(입구)는 뜨거운 유체의 출구와 만납니다. 이를 통해 차가운 유체가 뜨거운 유체의 입구 온도에 가까워져 열전달이 극대화됩니다.
    • 예: 뜨거운 유체가 100°C에서 들어와 40°C에서 나가고, 차가운 유체가 20°C에서 들어와 90°C에 가까운 온도에서 나가면 높은 열전달률을 얻을 수 있습니다.
  • 평행 흐름:
    • 병렬 흐름에서는 두 유체가 같은 방향으로 흐르므로 가장 큰 ΔT는 입구에서 발생하지만, 두 유체가 교환기를 따라 비슷한 온도에 접근함에 따라 ΔT는 빠르게 감소합니다.
    • 차가운 유체의 출구 온도는 뜨거운 유체의 출구 온도를 초과할 수 없으므로 전달되는 총 열이 제한됩니다.
    • 예: 뜨거운 유체가 100°C에서 들어와 60°C에서 나오면 20°C에서 들어오는 차가운 유체는 ~50°C에 도달할 뿐이어서 열전달이 감소합니다.

왜 중요한가: 열전달률(Q)은 ΔT에 비례합니다(Q = U × A × ΔT, 여기서 U는 열전달 계수이고 A는 표면적입니다). 대향류는 ΔT가 더 크고 일정하기 때문에 평균 열전달률이 더 높아 효율이 더 높습니다.

2. 로그 평균 온도 차이(LMTD)

  • 열교환기의 효율성은 종종 LMTD(대수 평균 온도 차이)를 사용하여 정량화되는데, LMTD는 열 전달을 주도하는 평균 온도 차이를 나타냅니다.
  • 역류: 열교환기 전체에 걸쳐 온도 차이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LMTD가 더 높습니다. 이를 통해 동일한 표면적에서 더 많은 열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 평행 흐름: 출구 쪽으로 갈수록 온도 차이가 크게 줄어들어 LMTD가 낮아지고 열전달의 구동력이 감소합니다.
  • 결과: 동일한 열교환기 크기의 경우, 역류 방식은 LMTD가 더 높아 더 많은 열을 전달하거나 동일한 열전달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표면적이 더 작아서 더 컴팩트하고 효율적입니다.

3. 최대 열 회수

  • 역류 방식에서는 차가운 유체가 이론적으로 뜨거운 유체의 유입 온도(무한히 긴 교환기)에 도달하여 거의 완전한 열 회수가 가능합니다(예: Holtop의 3D 교차 역류 교환기와 같은 최신 설계에서는 효율이 90–95%임).
  • 병렬 흐름에서는 차가운 유체의 출구 온도가 뜨거운 유체의 출구 온도에 의해 제한되어 효율이 제한됩니다(일반적으로 60–80%). 따라서 역류는 에너지 회수 환기(ERV)나 최대 열 회수가 중요한 산업 공정과 같은 분야에 이상적입니다.

4. 실제적 의미

  • 역류: 일관된 ΔT는 필요한 열 전달 면적을 줄여 고성능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더 작고 비용 효율적인 설계를 가능하게 합니다. HVAC, 산업용 냉각 및 에너지 회수 시스템에 널리 사용됩니다.
  • 평행 흐름: ΔT의 급격한 감소는 동등한 열전달을 달성하기 위해 더 넓은 열전달 면적을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 재료 및 공간 요구 사항이 증가합니다. 이 방식은 기본 라디에이터나 교육용 장치처럼 효율이 덜 중요한 단순 응용 분야에 사용됩니다.

시각적 설명(간단하게)

  • 역류: 뜨거운 유체(100°C~40°C)와 차가운 유체(20°C~90°C)를 상상해 보세요. 열교환기 전체의 온도 차이는 비교적 높게 유지됩니다(예: ~20~60°C). 이로 인해 효율적인 열전달이 이루어집니다.
  • 평행 흐름: 동일한 유체가 큰 ΔT(100°C – 20°C = 80°C)로 시작하지만 빠르게 수렴합니다(예: 60°C – 50°C = 10°C). 이로 인해 구동력이 감소하고 효율성이 제한됩니다.

결론

역류는 열교환기를 따라 더 크고 일관된 온도 차이(ΔT)를 유지하여 더 높은 LMTD(저온저항체)와 동일 표면적에서 더 큰 열전달을 초래하기 때문에 더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에너지 회수 또는 산업 공정과 같이 고효율이 요구되는 분야에 선호되는 반면, 병렬 흐름은 더 간단하지만 효율이 낮아 덜 까다로운 분야에 적합합니다.

역류 열교환기 대 병렬 흐름 열교환기

Counterflow and parallel flow heat exchangers are two primary configurations for heat transfer between two fluids, differing in the direction of fluid flow and their impact on efficiency, temperature profiles, and applications. Below is a concise comparison based on their design, performance, and use cases.

1. Flow Configuration

  • Counterflow Heat Exchanger:
    • Fluids flow in opposite directions (e.g., hot fluid enters at one end, cold fluid at the opposite end).
    • Example: Hot fluid flows left to right, cold fluid flows right to left.
  • Parallel Flow Heat Exchanger:
    • Fluids flow in the same direction (e.g., both hot and cold fluids enter at the same end and exit at the opposite end).
    • Example: Both fluids flow left to right.

2. Heat Transfer Efficiency

  • 역류:
    • Higher efficiency: Maintains a larger temperature difference (ΔT)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exchanger, maximizing heat transfer per unit area.
    • Can achieve up to 90–95% thermal efficiency in well-designed systems (e.g., plate or tube exchangers).
    • The outlet temperature of the cold fluid can approach the inlet temperature of the hot fluid, making it ideal for applications requiring maximum heat recovery.
  • 평행 흐름:
    • Lower efficiency: The temperature difference (ΔT) is highest at the inlet but decreases rapidly as both fluids approach thermal equilibrium along the exchanger.
    • Typically achieves 60–80% efficiency, as the cold fluid’s outlet temperature cannot exceed the hot fluid’s outlet temperature.
    • Less effective for applications needing near-complete heat transfer.

3. Temperature Profile

  • 역류:
    • Temperature gradient is more uniform, with a near-constant ΔT across the exchanger.
    • Allows for a closer approach temperatu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hot fluid’s outlet and cold fluid’s inlet temperatures).
    • Example: Hot fluid enters at 100°C and exits at 40°C; cold fluid enters at 20°C and can exit close to 90°C.
  • 평행 흐름:
    • Temperature difference is large at the inlet but diminishes along the exchanger, limiting heat transfer as fluids reach similar temperatures.
    • Example: Hot fluid enters at 100°C and exits at 60°C; cold fluid enters at 20°C and may only reach 50°C.

4. Design and Complexity

  • 역류:
    • Often requires more complex piping or plate arrangements to ensure fluids flow in opposite directions, potentially increasing manufacturing costs.
    • Compact designs are possible due to higher efficiency, reducing material requirements for the same heat transfer rate.
  • 평행 흐름:
    • Simpler design, as both fluids enter and exit at the same ends, reducing piping complexity.
    • May require a larger heat transfer area (longer or bigger exchanger) to achieve comparable heat transfer, increasing size and material costs.

5. Applications

  • 역류:
    • Preferred in applications requiring high efficiency and maximum heat recovery, such as:
      • HVAC systems (e.g., energy recovery ventilators).
      • Industrial processes (e.g., chemical plants, power generation).
      • Wastewater heat recovery (e.g., shower heat exchangers).
      • Cryogenic systems where precise temperature control is critical.
    • Common in plate heat exchangers, double-pipe exchangers, and high-performance shell-and-tube designs.
  • 평행 흐름:
    • Used in applications where simplicity is prioritized, or where complete heat transfer is not critical, such as:
      • Small-scale cooling systems (e.g., car radiators).
      • Processes where fluids must not exceed certain temperatures (e.g., to avoid overheating the cold fluid).
      • Educational or experimental setups due to simpler construction.
    • Common in basic tube-in-tube or shell-and-tube heat exchangers.

6.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 역류:
    • 장점:
      • Higher thermal efficiency, reducing energy losses.
      • Smaller size for the same heat transfer capacity.
      • Better suited for applications with large temperature differences.
    • Disadvantages:
      • More complex design and piping, potentially increasing costs.
      • May require additional measures to manage condensation or frost in cold environments.
  • 평행 흐름:
    • 장점:
      • Simpler design, easier to manufacture and maintain.
      • Lower pressure drop in some cases, reducing pumping costs.
    • Disadvantages:
      • Lower efficiency, requiring larger heat transfer areas.
      • Limited by the outlet temperature constraint (cold fluid cannot exceed hot fluid’s outlet temperature).

7. Practical Considerations

  • 역류:
    • Ideal for energy recovery systems (e.g., Holtop’s 3D cross-counterflow exchangers with 95% efficiency or RECUTECH’s RFK+ enthalpy exchangers).
    • Often equipped with features like hydrophilic coatings to manage condensation (e.g., Eri Corporation’s aluminum plate exchangers).
  • 평행 흐름:
    • Used in applications where cost and simplicity outweigh efficiency needs, such as basic HVAC systems or small-scale industrial cooling.
    • Less common in modern high-efficiency designs due to performance limitations.

Summary Table

역류형 열교환기는 어떻게 작동하나요?

In the counterflow heat exchanger, two neighboring aluminum plates create channels for theair to pass through. The supply air passes on one side of the plate and the exhaust air onthe other. Airflows are passed by each other along parallel aluminum plates instead ofperpendicular like in a crossflow heat exchanger. The heat in the exhaust air is transferredthrough the plate from the warmer air to the colder air.
Sometimes, the exhaust air is contaminated with humidity and pollutants, but airflows nevermix with a plate heat exchanger, leaving the supply air fresh and clean.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ko_KR한국어